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제약,바이오 주식
    제약,바이오 주식

     

     

    이달 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큰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HLB, 유한양행, 알테오젠, SK바이오팜 등 국내 대표 바이오 기업들의 중요한 임상 결과와 품목허가 승인 여부가 연달아 발표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발표에 따라 주가가 급등할 수 있는 ‘퀀텀점프’ 기회가 될 수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집중되고 있습니다.

    HLB, 리보세라닙 품목허가로 퀀텀점프 가능성 급부상

    현재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바로 HLB의 리보세라닙 품목허가 여부입니다. HLB는 지난해 5월 미국 FDA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을 받고 난 뒤, 제조 및 품질 관리 이슈를 개선하고 재심사를 신청한 바 있습니다. 특히 지난 9월 FDA 재심사 과정에서 별도의 보완사항이 필요 없다는 평가(NAI)를 받은 만큼, 이번 승인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최근 유럽종양학회(ESMO)의 가이드라인에도 미국·유럽에서 승인 이전에 이미 1차 치료제로 리보세라닙이 등재되었을 만큼 치료 효과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이번 FDA 품목허가 발표는 빠르면 마감일인 20일 이전에도 가능하기 때문에 주가 변동성도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리보세라닙이 FDA 허가를 받는다면 HLB의 주가는 단기간 내에 급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시장에서는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지만, 공식 승인으로 확정될 경우 추가적인 급등, 즉 '퀀텀점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번 발표를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

    • FDA 품목허가 시 HLB 주가 급등 가능성 매우 높음
    • 승인 이후 추가 해외 진출 확장성 기대

    유한양행 '렉라자' 병용요법, 글로벌 표준 치료제로 자리 잡나?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렉라자는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의 리브리반트와 병용해 타그리소를 능가하는 임상 3상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특히, 유럽폐암학회(ELCC) 초록에서 공개되는 이번 결과가 예상대로 우수할 경우, 렉라자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렉라자 병용요법은 이미 생존 기간이 기존 1위 표준치료제인 타그리소의 38.6개월보다 1년 이상 길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현재 렉라자는 미국 NCCN 가이드라인에서 '권고(Recommended)' 단계에 머물고 있지만, 이번 발표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빠르게 '선호(Preferred)' 요법으로 등급 상향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이렇게 되면 렉라자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약물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아져, 유한양행의 매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 시점에서 유한양행 투자를 고려한다면 이번 발표 전후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투자 포인트:

    • 타그리소 대비 생존 기간 연장 가능성 →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 NCCN 가이드라인 등급 상향 시 글로벌 처방 확대 기대

    임박한 '키트루다 SC' 발표, 알테오젠 주목!

    알테오젠(196170) 역시 이달 말 중요한 임상 결과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바로 글로벌 베스트셀러인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의 피하주사(SC) 제형 변경 기술이 적용된 '키트루다 SC'의 임상 3상 결과입니다.

    키트루다는 글로벌 매출 1위 면역항암제로, 이번 임상 결과에 따라 알테오젠의 기술이 글로벌적으로 검증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결과가 긍정적이면 알테오젠의 주가와 글로벌 바이오 시장 내 위상 역시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SK바이오팜, 추가 질환 임상 발표 기대감 ↑

    SK바이오팜(326030)도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ADHD), 주요우울장애(MMD)를 대상으로 한 수노시의 임상 3상 결과를 이달 중 공개할 예정입니다. 수노시는 기존 수면장애 치료제로 이미 처방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ADHD 및 주요우울장애로 치료 범위가 확대될 경우 매출의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투자 전략 제안:

    • HLB, 유한양행, 알테오젠: 발표 전 주가 변동성 클 수 있음 → 긍정적 결과 확인 후 추격 매수 전략 권장
    • SK바이오팜: 수노시의 임상 결과를 토대로 처방 확대 여부 확인 후 중장기 투자 접근 가능

    '퀀텀점프' 가능한 제약·바이오,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이번 3월 말은 국내 제약·바이오 섹터의 향방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시점입니다. 특히 HLB와 유한양행의 발표가 가장 주목받고 있으며, 해당 결과가 긍정적이면 주가 급등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이번 발표를 앞두고 관심 기업의 관련 이슈와 일정에 주목하며 전략적인 투자 타이밍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품목허가 승인이나 임상 결과 발표 직후 단기 급등이 나타날 경우에는 조정 국면을 활용한 분할 매수로 접근하는 것이 안정적인 투자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HLB와 유한양행, 알테오젠 등 대표 바이오 종목들의 발표 일정과 시장 반응을 철저히 체크해 투자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준비하세요.

    반응형